목록분류 전체보기 (69)
뮁이의 개발새발
DFS 시도했는데 안돼서 BFS로 시도.. 리스트배열 만들어서 일단 연결 다 해놓고 찾는게 포인트인듯 import java.io.BufferedReader; import java.io.IOException; import java.io.InputStreamReader; import java.util.ArrayList; import java.util.LinkedList; import java.util.Queue; import java.util.StringTokenizer; public class bj11725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throws NumberFormatException, IOException { BufferedReader in = new Buf..
그리디 알고리즘 : 현재 상황에서 지금 당장 좋은 것만 고르는 방법 => 지금 상황에서 가장 좋아보이는 것만 선택해도 문제를 풀 수 있는지를 파악해야 함 예제 1) 거스름돈 문제 가장 큰 화폐 단위부터 돈을 거슬러 주는 것 => 가지고 있는 동전 중에서 큰 단위가 항상 작은 단위의 배수이므로 가능함. 그러나 400원과 같은 단위가 생긴다면? 800원을 거스름돈 주는 경우, 그리디의 경우 500,100*3 = 4개가 되지만, 최적의 해는 400*2 이므로 그리디를 적용할 수 없음. => 다이나믹 알고리즘 활용해야 함 => 문제풀이를 위한 최소한의 아이디어가 정당한 지 검토할 수 있어야 함 예제 2) 1이 될 때 까지 어떠한 수 N이 1이 될때까지 다음의 두 과정 중 하나를 반복적으로 선택하여 수행하려고 한..
map을 잘 사용하지 않아서 list로 했다가 시간초과 났다... 미래의 나를 위해 기록함,, map도 잘써먹길 import java.io.BufferedReader; import java.io.IOException; import java.io.InputStreamReader; import java.util.Map; import java.util.TreeMap; public class bj20291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throws NumberFormatException, IOException { BufferedReader in = new BufferedReader(new InputStreamReader(System.in)); int N = Intege..
https://subbak2.tistory.com/65 [BOJ 백준] 구간 합 구하기 5(11660) Java 링크 :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1660 문제 설명 : 더보기 N×N개의 수가 N×N 크기의 표에 채워져 있다. (x1, y1)부터 (x2, y2)까지 합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 (x, y)는 x행 y열을 의미한다... subbak2.tistory.com 해당 블로그를 참조하였음 (설명 넘 잘되어있다ㅠㅠ) import java.io.BufferedReader; import java.io.IOException; import java.io.InputStreamReader; import java.util.StringTokenizer; public clas..
[디렉티브(Directices)] - v-접두사가 있는 특수 속성 - 표현식의 값이 변경될 때 사이드 이펙트를 반응적으로 DOM에 적용 ex) v-text, v-bind, v-else, v-html, v-show, v-for, v-once, v-if, v-cloak v-model: 양방향 바인딩 처리를 위해서 사용 v-bind: 엘리먼트의 속성과 바인딩 처리를 위해서 사용 v-show: 조건에 따라 엘리먼트를 화면에 렌더링 v-if, v-else-if, v-else: 조건에 따라 엘리먼트를 화면에 렌더링 v-for: 배열이나 객체의 반복 template: 여러개의 태그를 묶어서 처리해야 할 경우 사용 v-cloak: Vue instance가 준비될때까지 nustache 바인딩을 숨기는데 사용 [v-if와..
보통의 BFS문제인데, 3차원이라서 조금 더 코드가 늘어남.. 복잡하게 생각 안하고 z축 추가해서 평소처럼 풀어봤다. 근데 거리 자체를 배열에 써놓는 아이디어를 생각하지 못해서 조금 시간이 걸렸음 ㅠ.ㅠ import java.io.BufferedReader; import java.io.IOException; import java.io.InputStreamReader; import java.util.LinkedList; import java.util.Queue; import java.util.StringTokenizer; public class bj7569 { // 위, 아래, 왼쪽, 오른쪽, 앞, 뒤 static int[] dx = { 0, 0, -1, 1, 0, 0 }; static int[] dy =..
매번 쓰는 순열 메소드를 사용해서 풀었음. 근데 시간초과가 나서 엥 하면서 질문을 찾아봤는데 어떤사람이 StringBuilder 썼다고 해서 반신반의하면서 썼더니 해결됨.... 더 좋은방법이 있을것같기도 하다 import java.io.BufferedReader; import java.io.IOException; import java.io.InputStreamReader; import java.util.StringTokenizer; // StringBuilder 쓰니 시간초과 해결됨.. public class bj15651 { static int[] numbers; static int N, M; static StringBuilder sb = new StringBuilder(); public static ..
뒤에서부터 시작하는것을 생각해보았음.. 만약 숫자가 83 이런식으로 끝자리가 1도 아니고, 짝수도 아닌 수로 나오면 어차피 시작 숫자(A)까지 도달 할 수 없으므로 불가능하다고 빼버렸다. import java.io.BufferedReader; import java.io.IOException; import java.io.InputStreamReader; import java.util.StringTokenizer; // 목적 숫자 B에서 출발 public class bj16953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throws IOException { BufferedReader in = new BufferedReader(new InputStreamReader(System..